오늘은 아파트에 미쳐있는 대한민국의 모습을 재난이라는 상황을 설정해 직설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1. <콘크리트 유토피아> 붕괴된 도시의 사람들.
영화는 서울 도시가 지진으로 시원하게 붕괴되면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단 한 곳 '황궁 아파트'만이 폐허 속에서 무너지지 않고 서 있습니다. 모든 도시가 붕괴돼 버린 상황 속에 멀쩡하게 서 있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급격하게 상승해 버린 아파트의 모습은 영화의 제목처럼 '유토피아', 즉 이상적인 공간이 됩니다. 살아 있는 모든 이들이 선망하는 장소가 됩니다. 하지만 장소에 비해 생존자의 수가 너무 많았고 붕괴 돼버린 사회 시스템은 인간이란 존재가 가지 모든 역할과 사회적 지위, 도덕적 관념이나 윤리 의식을 무가치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이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파트의 주민들은 사진들이 선택받았다고 여기고는 아파트 주민이 아닌 생존자들을 바퀴벌레가 부르며 배척하기 시작합니다. 원래 아파트 주민이었던 사람들이 다른 외지인을 내쫓고 죽도록 방관합니다.
그렇지만 영원한 유토피아는 없었습니다. 영화 후반부를 달려가며 유토피아 같은 '황궁 아파트'에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게 되고 사람들은 분열하게 되면 갈등은 극에 달하게 됩니다. 많은 사람이 죽었고, 희생당했습니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또 각자의 방식으로 방법을 모색하게 됩니다.
2. 주요 등장 인물
(1) 모세범
이병헌 배우가 연기한 이 인물은 영화 초반에 본인을 희생하여 아파트의 큰 불이 날뻔한 걸 막아냅니다. 이 계기로 '황궁 아파트'의 대표로 선출됩니다. 처음에는 갈 곳 없는 자신을 받아주고 대표로 선출해 준 아파트 주민들을 위해서 많은 일들을 발 벗고 나서는 등 나름의 희생을 합니다. 그는 아파트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외지인을 완전히 배척하는 방법으로 주민들을 자기편을 만들어가며 권력을 행사합니다. 하지만 그의 방식은 점점 더 폭력적으로 변하고, 그를 따르는 주민들도 끝에는 그 폭력의 정당성에 의문을 품게 됩니다. 모세범은 어쩌면 희생정신이 투철한 평범한 사회의 구성원이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는 주민들이 원하는 리더의 역할을 알고 있었고 그런 모습의 리더가 되기 위해 점점 변모했을지 모릅니다.
(2) 명화
박보영 배우가 연기한 '명화'라는 인물은 모세범의 캐릭터와 가장 반대되는 캐릭터입니다. '명화'는 붕괴된 시스템 안에서도 타인을 배려하고 지키면서 인간의 존엄과 신념을 지키는 캐릭터입니다. '명화'는 자신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인류애를 놓지 않고 사람들을 지켜주고 애씁니다. 이런 재난상황에서 다소 비현실인 캐릭터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되고 싶어 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명화'라는 캐릭터로 그러졌다고 생각합니다.
(3) 민성
박서준 배우가 연기한 '민성'은 가장 현실적이고 보편적인 우리들과 가까운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직업도 공무원으로 사회 시스템을 지키고 순응하며 수동적이고 무비판적으로 조직을 따르는 캐릭터입니다. 극 중 '모세범'의 잘못된 리더십까지 편승하고 맹목적으로 따르는 모습은 잘못된 사회 시스템을 인지하고 있지만 어쩔 수 없이 수동적으로 따르고 있는 일반인들의 모습을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누구보다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을 가지기는 했지만 자신의 생명이 위험해지는 결정적인 순간에는 타인의 목숨보다 자신과 내 가족을 지키기 위한 선택을 합니다. 애써 먹을 것을 얻고도 다른 사람에게는 나눠주지 않는 모습은 재난 상황에서 보게 될 가장 보편적이고 현실적인 캐릭터 같습니다.
3. 나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인간은 늘 악한 마음과 선한 마음 두 가지를 지니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시스템은 인간이 더 도덕적으로 살도록 만들어 놨으며 이 시스템 안에서 인간은 대체로 선한 선택을 하며 사는 것 같습니다. 평범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엄청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면서 시스템 안에서 수동적으로 맞춰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회 시스템이 붕괴되면 그 안에서 수동적인 선택을 해왔던 사람들은 본인의 생각과 선택에 대해 내적 갈등을 하게 되고 불안하게 됩니다. 내적 갈등은 생각이 다른 다른 이들과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상황은 혼란스럽게 변해갑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본인들의 선택을 대신해 줄 누군가를 다시 찾고 싶어 하고 다시 사회의 시스템 속으로 들어가려 합니다.
이 영화에서도 붕괴된 시스템을 다시 구축하며 본인들의 생각을 대신해 줄 대표를 선출하게 되며, 그 대표가 외지인을 배척하는 이기적인 선택을 대신해 줌으로써 자신들의 마음 한구석의 자리 잡았던 이기심에 대한 정당성을 가지려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동적인 동의와 선택에 우리는 정말 책임이 없는 걸까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이라는 상황에서 다양하게 생겨나는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을 꾀나 직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재난 상황"이라는 이유로 인간성을 쉽게 상실해 가는 모습에 주민들은 중간중간에 스스로의 모습에 당황해하면서도 본인들의 편리를 위해 계속 폭력을 정당화합니다.
이 영화에서 '명화'는 선하고 정의로운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현실성이 없게 다가옵니다. 이런 재난 상황에서 '명화'와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정말 있을까요? 위기의 상황에서는 우리가 생각하고 바라는 인간다운 모습보다 나와 내 가족의 생존을 위해 이기적인 선택하는 모습이 우리의 진짜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당신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실 겁니까? 우리도 '명화'와 같은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